아티클 스터디 9

[팀아티클] 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5, 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한 취준생을 위한 안내서

[250415] 선정 아티클 : 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⑤ A/B 테스트에 적정한 표본과 주의 사항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5 A/B 테스트에 적정한 표본과 주의 사항 | 요즘IT아티클 요약표본 크기는 실험의 기대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기존 전환율이 20%일 때 대안이 1% 차이가 난다면 최소 25,255개의 표본이 필요하지만, 5% 차이가 난다면 1,030개의 표본만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무작정 트래픽을 더 모으는 것은 리소스 낭비가 될 수 있다.내가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실험의 객관성을 해칠 수 있다.A/B 테스트를 다른 날짜에 시작하는 것은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A/B 테스트는 단순한 비교가 아니라 고객에게 더 나은 방안을 ..

아티클 스터디 2025.04.17

[팀아티클] A/B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3, 4

[250408] 선정 아티클 : 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③ A/B 테스트 계산기의 세팅과 해석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3 A/B 테스트 계산기의 세팅과 해석 | 요즘IT아티클 요약1. A/B 테스트 계산기 활용 A/B 테스트를 위한 솔루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무료로 제공되는 웹 기반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이트로 AB Testguide가 있으며, 간단한 숫자 입력만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2. 주요 설정 항목 AB Testguide에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을 통해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Test Data: 각 그룹의 표본 크기와 전환된 숫자를 입력Settings-Hypothesis: 단측 검정(한쪽이 우세하다고 가정) 또는 양측 검정(어느 쪽이 우세할지 모름)..

아티클 스터디 2025.04.10

[팀아티클] A/B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1, 2

[250402] 선정 아티클 : 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① 테스트를 설계할 때 우리의 진짜 질문은?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1테스트를 설계할 때 우리의 진짜 질문은? | 요즘IT 아티클 요약A/B테스트를 할때 암묵적으로 우리가 진짜로 궁금해 하는 것1) 암묵적으로 A/B 방안의 결과가 상당히 크길 바란다2) 우리는 실험의 진행이 공정하기를 바란다3) 이번 실험의 결과가 이례적이거나 우연이 아니길 바란다A/B 테스트의 설계와 결과 해석을 1) 트래픽을 절반으로 나누거나 2) 변수를 하나만 두거나 3) 또는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는 방안을 선택해서 배포하는 식으로 단순하게 정의할 수 없게 된다. 개인 요약A/B 테스트는 단순히 실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결과의 신뢰성과 해석의 깊이..

아티클 스터디 2025.04.03

[팀아티클] 양질의 데이터를 판별하는 방법 1,2

[250311] 선정 아티클 : 양질의 데이터를 판별하는 5가지 방법 : ① 데이터 양은 충분한가?양질의 데이터를 판별하는 5가지 방법 : 1 데이터 양은 충분한가? | 요즘IT개인 요약1. 빅데이터의 가치빅데이터의 가치를 정리한다 빅데이터는 '21세기 원유'로 불리며, 산업과 소비자 트렌드 분석, AI 기술 발전의 핵심적인 원천이 된다. 정부와 민간은 데이터를 체계화하고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2. 양질의 데이터의 필요성데이터 품질이 높을수록 분석과 활용도가 높아지고 효율성도 증가한다.  그러나 저품질 데이터도 많아, 데이터를 수집할 때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3. 양질의 데이터 판단 기준양질의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충분한 데이터 수를 보유.데이터 내 오류가 적음.관계형 ..

아티클 스터디 2025.03.13

[팀아티클] 사용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법 / 실험 조직으로 거듭나기

[250304] 선정 아티클 : 사용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법사용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법 | 요즘IT개인 요약정성 데이터: 사용자의 리얼 보이스, 행동 관찰 기록, 사진 정량 데이터 : 만족도 점수, 과제 수행 시간, 에러 수 등정량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통계 분석 활용기술 통계 : 수집된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는 것추론 통계 : 샘플을 통해 모집단을 추론하거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활용됨기본적으로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 통계를 진행하고, 고도화된 분석이 필요할 경우엔 추가로 추론 통계까지 진행기술 통계1. 범주형 데이터 (Categorical Data):예시: 선호하는 디자인 타입, 과제 성공 여부 등.분석 방법: 빈도, 백분율 등.시각화 도구: 파..

아티클 스터디 2025.03.07

[팀아티클] 데이터 분석이란 무엇일까?/데이터 아키텍처? 쉽게 배워봅시다

[250225] 선정 아티클 : 데이터 분석이란 무엇일까?데이터 분석이란 무엇일까? | 요즘IT개인 요약정성적 데이터: 숫자가 아닌 데이터로,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문서 또는 오디오가 포함된다. 측정하거나 계산할 수 없는 대신, 사람들이 특정한 대상을 어떻게 느끼는지 알려준다. '무엇을', '왜', '어떻게'와 같은 질문에 답하는 것이 목적이며, 서술형으로 기록되는 데이터다. 정량적 데이터: 숫자로 표현되며, 주로 관찰, 설문조사,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다. 셀 수 있고 측정 가능하며 비교할 수 있다. 숫자의 크기에 관한 것이며, 수량과 평균 같은 수치를 포함한다. '얼마나 많이',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래'와 같은 질문에 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데이터 분석 : 원시 데이터에서 유용한 인..

아티클 스터디 2025.02.27

[팀아티클] 그 데이터는 잘못 해석되었습니다, 데이터 리터러시를 올리는 방법

[250218] 선정 아티클 : 그 데이터는 잘못 해석되었습니다그 데이터는 잘못 해석되었습니다 | 요즘IT 개인 요약생존자 편향의 오류: 데이터를 분석할 때 생존자만을 고려하면 잘못된 결론에 이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투기의 총탄 자국이 많은 부분이 아닌 적은 부분을 보강해야 한다는 통계학자의 조언처럼, 이탈 고객이 아닌 전체 고객을 기준으로 분석해야 합니다.심슨의 역설: 전체 지표와 그룹별 지표가 상반된 결론을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서비스는 성별 만족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전체 만족도에서는 B 서비스보다 낮았습니다. 이는 각 그룹의 사용자 수 차이 때문입니다.상관관계를 통한 성급한 일반화: 상관관계는 인과관계가 아니므로, 두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성급히 일반화하지 말아야 합니..

아티클 스터디 2025.02.20

[250206] RIDI-데이터 분석으로 유저의 마음을 읽는 서비스가 되려면 / 데이터를 쉽게 찾고 잘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토스 Data Analytics Engineer

선정 아티클 : 데이터 분석으로 유저의 마음을 읽는 서비스가 되려면데이터 분석, 유저의 마음을 읽는 서비스가 되려면 - 리디주식회사 RIDI Corporation개인 요약박지현해당 아티클을 읽고 새롭게 알게 된 것, 앞으로 나의 방향성에 대한 회고가 있다면 적어주세요. 인사이트가 가장 중요합니다.서비스 운영 = 가설 세우고 검증의 연속, 데이터 : 가설 검증 도구데이터를 잘 분석하기 위해선 프로젝트 환경을 둘러싼 맥락 이해 우선. 커뮤니케이션 → 시각화 중요 !, 동료에 대한 신뢰 (각각 해석과 판단에는 주관 개입 때문)- 코파일럿 요약 데이터 분석의 필요성: 데이터 분석은 직장인들에게 중요한 직무 역량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많은 비전공자들도 데이터 분석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리디의 접근 방식: 콘텐..

아티클 스터디 2025.02.06

[250204] 데이터 분석가에게 코딩테스트가 필요할까요? / 주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에게 하고 싶은 말

선정 아티클 : 데이터 분석가에게 코딩테스트가 필요할까요?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708/개인 요약박지현해당 아티클을 읽고 새롭게 알게 된 것, 앞으로 나의 방향성에 대한 회고가 있다면 적어주세요. 인사이트가 가장 중요합니다.C, 자바(java), 파이썬 같이 자주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마이너한 프로그래밍 언어 시험 주의나는 대학교 수업때 R과 sql 을 배워본 적이 있어서 조금은 자신 있어했는데 비개발용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사실이 충격이었다. 데이터 분석가는 데이터를 활용해 정해진 답이 없는 문제를 풀어야 한다.  [아티클 요약] 아티클의 전체 내용을 요약해주세요. 단순 내용을 따라적는 것이 아닌 중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나만의 언어로 요..

아티클 스터디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