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3

[250613] QCC 7회차

문제 1. 내 오답틀린 이유 : 아니.... 멍청아 테이블명 안봐?????? page_id가 어디있니.. pages잖니....select i.page_idfrom page_id as i left join page_likes as l on i.page_id = l.page_id where l.page_id is null order by i.page_id asc정답select p.page_idfrom pages as p left join page_likes as l on i.page_id = p.page_id where l.page_id is null order by p.page_id asc 문제 2.내 오답select ticker, if max(open) then datetime(date, 'Y..

카테고리 없음 2025.06.13

[250612] 최종 프로젝트 8일차

부제 : 개쩌는 지선언니 ❗❗문제발생❗❗leaf_category 가 각 row마다 쪼개서 나온 (depth 기준) 최하위 category_id 를 leaf_category로 가져오는 바람에 L2, L3, L6 등 다 혼재되어 있음 df['leafCategoryId_1'].value_counts()>>> 11,086 해결 시도leafCategoryId_1 탐색 시작같은 id (100979)인데도 이름이 다 다르게 나와서 의문을 가짐 → 이름 추출했던 코드 다시 뜯어보기 시작df[['leafCategoryId_1','leaf_category_names']].value_counts()# 리프 카테고리 이름 추출def get_leaf_names(categories, leaf_ids): return [ ..

카테고리 없음 2025.06.12

[250604] 종합 복습반 7일차 - 머신러닝 2

1: 데이터셋 불러오기 및 확인Kaggle의 Adult Census Income 데이터셋 (adult.csv) 파일을 판다스(Pandas)로 불러오세요. 불러온 데이터의 상위 5개 행을 출력하고, 데이터의 크기(행렬 수)와 각 열의 데이터 타입 정보를 확인하세요.import pandas as pd# CSV 파일을 데이터프레임으로 읽어오기df = pd.read_csv('adult.csv')# 데이터의 상위 5개 행 출력print(df.head())# 데이터셋의 행과 열 크기 출력print("Dataset shape:", df.shape)# 각 열의 데이터 타입과 null 개수 등 정보 출력print(df.info())df.info()2: 데이터 정제 – 누락값 확인 및 처리데이터셋에서 누락값(결측치)을 확..

카테고리 없음 2025.06.04

[250602] 종합 복습반 6일차 +최종 데이터 추출ing...

1: 당뇨병 발생 예측을 위한 데이터 탐색당신은 병원의 데이터 분석가로, 여성 환자들의 건강 검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앞으로 5년 이내에 당뇨병이 발병할지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제 Pima Indian Diabetes 데이터셋을 불러와서 기본적인 탐색을 해봅시다. 데이터셋에는 임신 횟수, 포도당 수치, 혈압, 체질량지수(BMI) 등의 건강 정보와 당뇨병 발생 여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선 데이터를 로드하고, 샘플 수와 피처(특징) 수를 확인한 후, 타겟 변수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분포(값 0과 1의 개수)를 살펴보세요.import pandas as pddf = pd.read_csv('/Users/t2024-m0244/Downloads/diabetes.csv')# 2. 샘플 수와 피처 수 ..

카테고리 없음 2025.06.02

[250530] 종합 복습반 5일차 - 통계/가설 검정

# 고려 사항1. 이론을 묻는 문제들이 다소 존재하기에, 자신의 생각을 적되 막히면 검색을 하는 방식을 선택하세요.2. 검색을 해서 찾은 경우 복사 붙여넣기 하지 마시고, 검색한 내용에서 내가 이해한 내용으로 요약해서 정리하세요!3.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연습입니다.4. 해당 실습에서는 유의수준을 0.05로 가정하겠습니다. 1.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의 개념통계적 가설검정에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무엇이며, 이 둘은 어떤 관계를 갖는지 설명하세요. 또한, 일상 생활이나 비즈니스 상황에서 가설을 설정하는 간단한 예를 하나 들어 보세요. 해설 :- 귀무가설(H0)은 “특별한 차이나 효과가 없다”는 등 기존 상태(영향 없음)를 나타내는 주장이고, 대립가설(H1)은 “차이나 효과가 존재한..

카테고리 없음 2025.05.30